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지난주 방한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첫 번째 조언으로 시스템 반도체 생산 능력을 늘리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챗GPT같은 AI 서비스가 많아질수록 반도체 수요가 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아직은 적절한 AI 반도체가 개발되지 않은 상태. <br /> <br />오픈 AI도 챗GPT 구동을 위해 GPU를 만 개 이상 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기업들이 개발하고 있는 반도체 제품은 성능과 효율 면에서 GPU를 능가합니다. <br /> <br />-1 직원 백 명의 스타트업인 이 회사는 현재 카카오에 AI 반도체를 이용한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, 내년 상반기 중에 2세대 제품을 내놓을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GPU보다 전력 소비는 60% 적고 제품 가격은 50% 저렴한 AI 반도체입니다. <br /> <br />[백준호 / 퓨리오사AI 대표 : 챗GPT급 모델을 고성능으로 돌릴 수 있는 2세대 칩을 준비 중이기 때문에 저희가 굉장히 빠르게, 또 시장의 변화에 맞추어서 그다음 제품을 준비 중이라고 말씀드립니다.] <br /> <br />SK그룹이 100% 출자한 이곳도 반도체 하드웨어만 놓고 보면 엔비디아의 GPU를 압도합니다. <br /> <br />문장을 이해하고, 이미지를 인식하는 속도가 GPU보다 2배 이상 빠르다는 게 업체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류수정 / 사피온 코리아 대표 : GPU 대비 AI가속기(반도체)가 확실히 제품의 효율성이나 성능이 워낙 좋다는 게 공신력 있게 증명이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이밖에 KT에서 3백억 원을 투자한 스타트업도 5나노 AI 반도체를 출시해서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AI 반도체의 성능은 하드웨어 자체보다는 제품을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능력에 따라 좌우됩니다. <br /> <br />엔비디아의 GPU 역시 '쿠다'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가 경쟁력의 원천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석 /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: 반도체 칩 비중보다는 소프트웨어 비중이 사실은 더 중요하고요. 실질적으로 그 부분에서 경쟁력의 차이가 나오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챗GPT 열풍은 GPU를 생산하는 엔비디아를 시가총액 1조 달러 회사로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GPU는 본격 AI 서비스를 위해 개발된 게 아니어서 전력 소모 등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는 GPU를 대체할 AI 반도체가 앞으로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핵심 제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AI 반도체를 계기로 한국 기업들이 비메모리 분야까지 주도하게 된다면 우리 경제는 큰 성장 동력을 얻게 될 것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61416505954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